전남투데이 이현승 기자 | 부동산경기 침체와 금리인상 등으로 유동성 위기에 빠진 광주‧전남 중소 건설사들이 줄줄이 쓰러지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광주·전남 중소건설사 3곳이 법인 회생(법정관리) 신청했거나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A 건설사는 2022년 실적 기준 매출 1140억 원, 영업이익 24억 원을 기록할 정도로 견실했으나 시공한 주상복합아파트의 미분양 등으로 자금난을 겪으면서 지난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광주에 본사를 두고 전남지역에 주로 아파트를 지어왔던 전남의 B 건설사도 10일 같은 신청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전남의 C 건설사도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해 말에는 지역 중견업체인 해광건설과 거송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해 회생을 시작하기 전 자산을 동결하는 절차인 법원의 포괄적 금지 명령이 내려진 상태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정식으로 회생 절차를 시작하기 전 당사자의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의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할 수 없다.
광주에서는 중견건설업체 한국건설이 중도금 이자를 납부하지 못하는 등 유동성 위기를 노출하기도 해 지역건설사들의 줄도산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건설이 공사를 진행 중인 사업장은 광주에 22곳, 전남에는 6곳에 이른다.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보증에 가입돼 있지 않은 30세대 미만의 사업장도 8곳에 이르면서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이들 소규모 세대 사업장은 보증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아 수분양자들은 억대의 계약금을 날리지 않을까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자금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건설업계 특성상 특정 업체가 도산하면 도미노처럼 위기가 확산할 가능성이 커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지역의 종합건설업체들이 회원사로 가입해 있는 대한건설협회 광주시회 회원사는 이날 기준 379개사, 전남도회 소속 회원사는 1113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