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예방이 최우선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8~2022년 보이스 피싱 피해 건수는 22만7천126건, 피해 금액은 총 1조6천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갈수록 증가하고 수법도 다양화되고 있다. 피싱 범죄는 갈수록 진화하고 그들의 사기 수법은 연령과 계층에 관계없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피싱범죄가 증가하고 있는데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피싱 범죄의 가장 보편적인 범죄유형이 공공기관 사칭이 있다. 전화로 계좌번호, 카드번호, 인터넷뱅킹 정보를 묻거나 인터넷 사이트에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절대 응하지 말하야 한다.

 

금융감독원, 은행, 경찰, 검찰청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상으로 일반인에게 은행명, 계좌번호, 통장비밀번호 등의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근 들어 대학생이나 젊은 층에게 피해가 늘고 있는 몸피싱이 증가 추세다. 스마트폰 채팅 어플을 통해 음란 화상 채팅을 하자고 접근하여 상대방의 음란한 행위를 녹화한 후 피해자의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심어 피해자 지인의 연락처를 탈취한 다음 지인들에게 녹화해둔 영상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여 금전을 갈취하는 범죄 수법이다.

 

그리고 전화나 문자로 대출을 권유하는 대출 사기 피싱도 다양하다.

 

낮은 이자로 대출이 가능하다고 하거나 신용 등급을 올려준다고 기존 은행의 대출금 상환 또는 수수료를 내라며 돈을 요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락을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금융회사의 실제 존재 여부를 먼저 확인 후 대출을 권유하는 자가 금융회사 직원인지 또는 정식 등록된 대출 모집사원인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정상적인 금융기관에서는 대출과 관련해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신분증 등 정보유출시 즉시 112 및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하여야 한다.

 

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피싱 사기 범죄는 매년 지능화되고 있다. 수법이 교묘해지는 피싱 사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수상한 문자나 전화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될 것이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