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묘해진 보이스 피싱 유형과 예방법

 

TV 등 각종 대중매체에서 보이스피싱에 대한 예방법 등이 국민들에게 홍보를 하고 있지만 정보를 알고 있어도 예방하기란 쉽지가 않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하금융사기로 인한 피해액이 561억에 달했다고 한다. 사회적으로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짐에도 피해가 끊이지 않는 건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 지고 있다는 것이다.

 

새롭게 등장한 보이스피싱 유행과 트렌드,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새롭게 진화하는 신종사기 수법 유형은 기존의 다양한 피싱 유형에 더불어 사회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종사기 수법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주식이나 코인 투자와 관련된 사기 수법이 그 예이다. 과거 주식피해로 손실된 금전을 정부 지원으로부터 복구 해준다며 유인후 가짜 코인 정보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 가짜 코인을 매도해야 한다며 수수료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또 비상장 또는 상장 코인 투자시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매 가능하다고 하거나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내용으로 유도해 가짜 상장 정보나 허위 코인 지갑 사이트 등을 제공해 금전 피해를 유발하는 코인투자 사기도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알고리즘을 통한 로또 복권 번호 제공을 빌미로 수수료 납부를 위한 카드정보, 개인정보 등의 탈취를 유도하는 로또 사기까지, 신종 피싱 의 수법은 점점 교묘하게 진화하고 다양화되고 있다.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통한 스미싱 수법 유형도 다양하다. 대표적인 스미싱 유형으로는 카드발급 사기가 있다. 카드발급을 사칭하는 국제발신 문자로 가짜 고객 센터로 문의하도록 유도하거나 명의 도용 신고를 하라며 파밍 사이트 접속을 유도해 정보를 탈취해 금전피해를 발생하게 한다.

 

이렇게 고도화 되고 다양화되고 있는 피싱, 신종사기, 스미싱에 완벽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피해 발생시 경찰신고(112) 또는 금융감독원(1322) 신고를 통해 피해사실 및 지급 정지 신고를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만일 링크나 다운로드를 통해 앱을 설치했거나 악성앱이 설치 되었다면 해당 기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휴대폰 또는 유선전화로 신고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로 유출정보를 이용한 2차 피해를 방어하기 위해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 예방 시스템 등록과 계좌 정보 통합관리서비스에서 본인명의로 개설된 계좌, 대출을 확인하거나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에서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을 조회하여 추가 개통을 차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발방지를 위한 신분증, 통장, 비밀번호 등의 정보변경을 진행해 추가 피해를 막는것도 중요하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