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의존 큰 신산업, 장기 인력 수요 파악 및 양성 전략 필요

바이오헬스 등 지속적 인력 부족 산업에 혁신인재 양성 적극 지원해야

정부가 전문인력 의존이 큰 신산업의 장기 인력 수요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산업 분야의 혁신인재 양성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정훈 의원 (나주화순, 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신산업 분야 인력수급 전망」을 분석한 결과, 10개 신산업 분야의 부족인원이 10,765명에 달하며, 10년 후 향후 인력 수요는 421,999명으로 전망됐다. 즉, 약 16만명에 달하는 인력충원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신산업 분야별로는 디지털 헬스케어 2,900명, 미래형자동차 1,827명, 차세대반도체 1,146명, 첨단신소재 1,037명 순으로 현원 대비 부족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10년 후 전망에 따르면 미래형자동차 38,536명, 디지털 헬스케어 24,998명, 지능형로봇 20,229명의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산업기술인력의 산업별, 직종별 현황 등을 파악하는 정부승인 통계인 「2019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12대 주력산업 중 바이오헬스, SW, 반도체 산업 등이 일자리 증가를 주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우 전년대비 2016년 5.9%, 2017년 5.7%, 2018년 5.1%의 인력이 증가하며, 가장 많은 고용을 창출하고 있었다.

 

한편, 전체 부족 인력 대비 12대 주력산업의 부족인력 비중은 2015년 72.3%, 2016년 72.5%, 2017년 73.8%, 2018년 76%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5년간 12대 주력산업별 부족률은 2.5% 내외로 비교적 안정적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8년 기준 SW 4.3%, 바이오헬스·화학 3.3% 순으로 타 주력산업보다 인력 부족률이 지속적으로 높다.

 

신정훈 의원은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이자 국가경쟁력의 주축이 될 신산업의 제대로된 성장을 위해선 인프라 확충을 위한 하드웨어의 지원도 필요하지만, 인재 양성도 미뤄둘 수 없는 핵심 선결 과제다. 산업의 몸집은 점점 성장하는데, 정작 일할 사람이 없다면 그야말로 ‘앙코 빠진 찐빵’일 수 밖에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신정훈 의원은 “정부는 각 신산업 부문별로 세계시장의 성장세, 국내 산업계 수요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미래 산업을 선도할 고급인력을 적극 양성해야 한다. 특히 바이오헬스 산업과 같이 일자리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면서도 인력 부족률이 높은 산업 분야에 대해선 보다 특별한 관심과 지원책이 필요하다. 산업현장에서의 실용적 활용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추진하고, 신기술 중심의 재직자 훈련, 석박사급 연구인력 양성 사업 확대 등을 통해 혁신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장형문 기자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