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독창적인 방식으로 기존의 독창성을 해체한 ‘앤디 워홀’

AI시대, 예술과 저작의 개념은

지난 5월, 미국 대법원은 앤디 워홀의 작품인 가수 프린스의 초상화가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판결했다. 앤디 워홀은 20세기 중반 대중문화를 예술로 만들어 팝아트를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 격상시킨 인물이다. 이번 판결은 그가 만든 가수 프린스의 실크스크린 초상화 작품이 사진작가 골드스미스가 찍은 프린스의 사진을 이용했고 이는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대법원은 구체적인 근거로, 워홀 재단이 한 잡지에 워홀의 작품 ‘오렌지 프린스’를 사용하게 하고 저작권료를 받았으며 골드스미스 역시 자신의 사진으로 저작권료를 받으려 했던 만큼 골드스미스에게 저작권료의 일부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 판결은 저작권의 의미와 인간의 창의성에 대해, 그리고 예술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미술사학자이자 앤디 워홀 전문가인 리처드 메이어(Richard Meyer)는 뉴욕타임스 오피니언란에서 ‘공정 이용’을 근거로 이를 반박한다. 


‘공정 이용’이란 우리가 저작권이 있는 작품이나 글을 교육이나 보도의 목적으로 인용하거나 사용할 때처럼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일 때 이를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7대 2로 워홀이 골드스미스의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정 이용’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원저작자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이어는 이런 공정 이용의 개념이 사실 워홀의 예술 세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말한다.


그는 우선, 워홀이 신경 쓴 것은 저작권(copyright)이 아니라 복제권(right to copy)이라고 말한다. 곧, 어떤 창작활동에 있어, 그 창작물의 결과가 보호될 권리보다, 창작물을 만들 때 다른 작품을 이용할 권리에 더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엄밀히 말해 어떤 예술 작품도 순수하게 예술가 혼자만의 작품이라 할 수 없다. 이는 그가 그 작품을 만들기까지 보고 익힌 앞선 이들의 작품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의 동기를 부여하려는 목적과 무언가를 먼저 생각해 낸 사람에게 보상이 돌아가는 것이 합당하다는데 합의하고 있고, 따라서 그에게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한다.


사실 ‘뒤샹’ 이후 현대미술에 있어 구체적 실행은 아이디어의 부수적 과정으로 점점 변모해 왔다. 오늘날 인기를 끄는 수많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지시를 따르는 조수들에게 작품을 완성시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조영남 대작사건 때 다수의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를 들어 그를 비난했고, 오직 소수의 평론가만이 현대 미술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했다.


앞으로 이 세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생성 AI 기술에서 아이디어와 실행의 충돌은 더욱 두드러진다. 사실상 생성 AI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은 프롬프트라는 명령어를 통해 지시할 뿐이고 거의 모든 실행은 AI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의 대작 사건에서 보듯, 아이디어와 실행의 충돌에서 핵심은 최종 결과물에 누구의 기여가 더 큰가이며, 따라서 생성 AI 기술로 만들어진 작품에서 AI의 기여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디어와 실행에 있어 기여의 크기를 정할 때, 누가 대체 불가능한지, 또는 누가 더 시간과 비용을 많이 썼는지 등의 질문을 할 수 있을 것니다. 물론 이 문제는 그 아이디어가 어떤 것인지, 실행의 난이도가 어떠한지, 이 결과물이 어떤 분야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생성 AI로 만들어진 작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AI를 누구나 접할 수 있고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해진 지금, 이제 생성 AI로 만들어진 작품에 있어 인간이 기여한 프롬프트가 작품의 표현과 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여기에 인간의 기여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생성 AI가 점점 더 발달해 매우 간단한 프롬프트를 통해서도, 예를 들어 “모든 현대 미술 평론가들이 깜짝 놀랄만한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줘”라는 지시를 통해 만들어진 작품이 매우 창의적인 도상을 독창적인 화풍으로 그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예술의 의미에서 볼 때  소수의견을 낸 엘레나 케이건 대법관은 앤디 워홀이 다른 작품을 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가가 된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점, 곧 다른 작품을 복제했기 때문에 현대 미술의 거장이 되었다고 말한다. 메이어의 말을 빌리면, 그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독창성의 개념을 해체했기 때문에 거장이 된 것이다. 


메이어의 글에서 마지막 문단의 표현은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하나의 멋진 답일 것 같다. 바로, 워홀이 ‘공정 이용’이라는 법리를 알았다 하더라고 그는 신경 쓰지 않았을 것이며, 이는 훌륭한 예술은 법을 개의치 않을 때 탄생하기 때문이다. 곧, 예술은 경계에서 탄생한다는 말이며, 현대 미술은 바로 이 말을 확장해 온 기록이라는 것이다.

인용:The Supreme Court Is Wrong About Andy Warhol
By Richard Meyer, New York Times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