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투데이 정홍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되자 민주당 원내지도부가 표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는 등 당 내부가 극심한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책임론이 제기된 당 원내지도부와 사무총장 이하 정무직 당직자들이 전격 사퇴했다. 이로써 168석의 제1야당인 민주당은 총선 약 7개월을 앞두고 사상 초유의 '리더십 공백'을 맞게 됐다.
국민의힘은 체포동의안 가결은 민심의 뜻이라며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당 지도부의 거듭된 부결 호소에도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이 가결되자, 박광온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가 총사퇴를 선언했다.
사무총장과 그 아래 정무직 당직자들도 가결 사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다. '통합형 리더십'으로 평가받으며 결선투표 없이 압도적 표차로 당선됐던 박 원내대표는 1년 임기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취임 넉 달여 만에 불명예 퇴진하는 오점을 남기게 됐다.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정기국회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등 일정을 고려해 조만간 당헌당규에 따라 치르기로 했다.
이소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지난 21일 밤 의원총회를 마친 후 "모든 상황에 대한 책임을 지고 박광온 원내대표가 사의 표명을 했다"며 "이 시간부로 원내 지도부는 총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무총장과 사무총장 산하 정무직 당직자들도 모두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는 부당한 정치탄압으로 규정했다. 본회의 가결 투표는 용납할 수 없는 명백한 해당 행위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극심한 내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비명계가 당권 장악을 위해 체포안에 가결 표를 던졌다고 비난의 화살을 쏟아내는 친명계 의원들과,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을 놓고 '말 바꾸기'를 해 이미 리더십을 상실했다는 비명계가 맞서면서 격론이 벌어진 것이다. 체포안 가결 직후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의원총회에서는 회의장 밖으로 자주 고성이 들릴 정도로 격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친명계 의원들은 박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 지도부'의 사퇴를 주장했다. 체포동의안 표결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원내 지도부가 부결 투표를 당론으로 정하지 않아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를 자초했다는 주장이다.
여기에다 이르면 이달 말로 예상되는 영장심사에서 법원이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한다면 민주당은 사상 초유의 리더십 공백 상황이 된다. 당장 누가 권한 대행을 맡을지도 주목된다.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당대표가 궐위하면 원내대표가, 원내대표가 없다면 선출직 최고위원 중 최고 득표자(정청래 최고위원)가 당대표 직무를 승계한다. 이날 박 원내대표가 사퇴하면서 민주당은 신임 원내대표 선출 절차를 진행한다. 민주당 최고위는 22일 당무위원회를 소집해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설치 및 구성의 건'을 부의하기로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