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尹 대통령, 국정 쇄신을 위해 돌려막기 이제 그만

진정한 변화 의지 보여야

 

4·10 총선에서 참패한 국민의힘 내부에서 국정 쇄신 주장이 분출하고 있다. 일부 자성의 목소리도 있지만, 대통령실을 향한 비판이 주류를 이룬다. 총선 참패의 원인이 윤석열 대통령의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 스타일에 있다며 대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일각에선 내각 총사퇴, 야당이 추진하는 각종 특검법 찬성 목소리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총선 직후 비서실장을 통해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겠다”고 밝혔을 뿐 국민 앞에 직접 나서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사의를 표명한 국무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 후임 인선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 총리 후보로는 권영세 전 통일부 장관 등 친윤계 중진 의원 등이, 신임 비서실장으로는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정부 인사들이 거명되고 있다.


새 총리와 비서실장에 정치인 출신 ‘정무형’ 인선을 우선하여 검토하는 것은 총선 패배가 부른 여권의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나올 법한 하나의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경제관료 출신 대신 정무적 감각을 앞세운 총리와 비서실장 인선이 총선 직후 윤 대통령이 밝힌 ‘국정 쇄신과 경제·민생 안정’ 다짐에 걸맞은지부터 의문이다.


현재 총리와 비서실장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 대부분은 윤 대통령 측근 그룹으로 꼽히는 이들이다. 현 정부 인사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 대통령이 ‘잘 아는 사람, 같이 일해 본 사람’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유력 후보로 꼽히는 권 의원과 원 전 장관은 대통령과 같은 대학을 나온 검사 출신이기도 하다. 


특히 원 전 장관은 이번 총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지역구에서 맞붙었는데, 당장 대통령과 야당 대표 회동을 조율하는 역할에 적임자인지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이들 외에도 몇몇 인사의 이름이 흘러 나오지만, 그 정도의 인물들로 작금의 위기 상황을 돌파할 수 있을까 싶다. 그러니 야당에서 “아직 정신 못 차렸다”는 반응이 나올 수밖에 없다. 국민 다수가 이해할지도 의문이다.


여당이 참패한 데는 ‘용산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윤 대통령의 불통 리더십과 김건희 여사 명품백, 이종섭 전 대사 관련 논란 등에 대한 민심의 심판 성격이 짙다. 그렇다고 국민의 힘 책임이 면해지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힘의 행태를 보면 용산 탓만 할 게 아니라 뼈저린 반성부터 하는 게 순리다. 


국민의힘은 총선 과정에서 ‘이·조 심판’만 외치며 과거 지향적으로 갔을 뿐, 역동성 있는 미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소홀했다. 그나마 야당과 차별화한 정치 개혁 방안도 초반 반짝하다 흐지부지됐다.


국정을 쇄신하려면 ‘돌려막기 인사’라는 지적을 받지 않도록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인물을 요직에 기용해야 한다. 특히 헌법 86조에 따라 ‘행정 각부 통할’ 역할을 해야 하는 국무총리 후보로는 통합 리더십과 능력·경륜을 고루 갖춘 인사를 지명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집권당다움’을 회복하는 게 급선무다. 


조기 전대냐, 비대위냐를 두고 벌써부터 친윤-비윤 다툼 조짐을 보이는데, 숨 가쁘게 돌아가는 국제 정세와 더 강력해진 야당과 마주해야 할 상황을 보면 그럴 만큼 한가한 때가 아니다. 대패 원인을 냉철하게 담은 백서라도 내고 국정과 민생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부터 단단히 다져야 한다.


또 윤 대통령이 제1당인 야당의 대표와도 조속히 만나야 한다. 북·중·러의 밀착, 중동 확전 우려 등으로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는 만큼 여야 수장이 한자리에 앉아 경제·안보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번에 국민에게 견해를 밝힐 때 더 낮고 반성하는 자세로 변화와 쇄신 의지를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불통과 독선에서 벗어나 소통과 경청·설득의 리더십으로 전환하려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정부는 총선 이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만 열고, 이전처럼 언론 브리핑을 통한 ‘의료 개혁 메시지’를 내놓지 않고 있다. 정부는 곧 브리핑을 재개하겠지만, 총리와 대통령실 참모진의 사의 표명과 개각 분위기로 어수선해 당장 특별한 입장을 내놓을 가능성은 작다. 


지도부 정비에서 우선해야 할 것은 새 지도부가 갖춰야 할 리더십에 대한 공감이다. 윤재옥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체제는 윤 정부 출범 이후 7번째 지도부다. 여당 대표의 평균 임기가 4개월이 안 된다는 사실은 용산의 입김에 취약한 리더십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번 총선 결과로 윤석열 정부는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 정부의 위기는 곧 국정의 위기, 국가의 위기다. 능력과 강단을 갖춘 인사들로 정부가 어떤 위기에도 준비돼 있음을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