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전체기사 보기

영암문화관광재단, 허튼 가락과 세계 선율의 만남 ‘2025 김창조산조페스티벌’

산조의 본향, 영암에서 첫 선을 보이는 산조 전문 축제

전남투데이 박상훈 기자 | 가야금산조의 창시자, 김창조(金昌祖)의 고향이자 산조 음악의 발원지인 전남 영암군이 그의 위대한 음악적 유산을 기리는 축제의 장을 연다. 영암군은 오는 9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가야금산조기념관과 도갑사 일원에서 ‘2025 김창조 산조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산조의 본향으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한번 드높인다. 올해 주제는 ‘연결의 힘’이다. 산조의 본질인 ‘허튼 가락’이 지닌 자유로움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산조라는 전통음악 양식이 단순히 계승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함께 변화하고 확장되는 음악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번 페스티벌은 산조의 종적(縱的) 연결과 횡적(橫的) 확장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축제의 문을 여는 '여는 마당'은 김창조의 산조정신과 이번 축제의 철학을 관객에게 소개하는 오프닝 프로그램이다. 첫 무대는 산조의 본향 영암에서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를 전승하고 있는 단체인 ‘더현음재’가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로 축제의 시작을 알리며 환대의 무대를 연다. 이어 올해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인 원일은 산조의 즉흥성과 교감의 정신, 그리고 ‘연결의 힘’이라는

“무화과 한 알에 담긴 철학” 황성오 조합장의 상보다 빛나는 현장 리더십

전남투데이 박상훈 기자 | 영암 삼호농협 황성오 조합장이 ‘함께하는 조합장상’과 ‘총화상’을 연이어 수상했다. 하지만 그가 진짜 받은 상은 지역민의 신뢰와 농업의 미래다. 지난달 농협중앙회가 수여한 ‘함께하는 조합장상’은 조합원 복지와 지역사회 공헌을 실천한 조합장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황 조합장은 무화과 공동선별장 운영, 청년농업인 육성, 복지 확대 등으로 지역 농업의 체질을 바꾸고 있다. 그러나 삼호농협의 사무실을 찾은 기자가 가장 먼저 마주한 것은 상패가 아닌, 조합원들과 나란히 앉아 무화과 품질을 직접 점검하는 황 조합장의 모습이었다. “상은 제가 받은 게 아니라, 우리 조합원들이 만든 겁니다”라는 그의 말은 단순한 겸손이 아니었다. 황 조합장은 농협중앙회로부터 ‘총화상’도 수상했다. 전국 1,100여 개 농협 중 단 1명에게 주어지는 이 상은 협동조합 정신을 실천한 리더에게 수여된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매일 아침 조합원들과 함께 밭을 돌고, 유통 현장을 챙긴다. “농협은 농민의 삶을 바꾸는 플랫폼이어야 합니다. 저는 그 플랫폼의 운영자일 뿐입니다.” 그의 철학은 단순한 경영을 넘어, 지역 농업의 생태계를 설계하는 일로 확장되고 있다. 삼호농협은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