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대 멘 의원은 있는데… 직원은 수당만 챙겨

강필구 의원 사퇴 직후 의회사무과 초과근무수당 부당 수령 논란 확산

 

전남투데이 박세훈 기자 | 최근 영광군의회 의원들의 농어촌 환경개선사업비 관련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9선의 중진 강필구 의원이 정치적 책임을 지고 의원직에서 전격 사퇴했다. 하지만 강 의원의 책임감 있는 결단과 달리, 의회사무과 내부에서는 초과근무 수당 부당 수령 의혹이 제기돼 군민들의 실망과 분노가 이어지고 있다.

강 의원은 지난 15일 입장문을 통해 “군민 여러분의 실망과 분노를 누구보다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그동안 군민을 위한 의정활동에 전념해 왔다고 자부했지만, 그 과정에서 신뢰를 잃게 한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개인적인 비리나 사적 이익은 없었지만, 9선 의원으로서 정치적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면, 선배로서 먼저 총대를 메는 것이 도리라 여겼다”고 덧붙이며 의원직을 내려놓았다.

이러한 사퇴 발표가 나온 직후, 군의회 의회사무과 일부 직원들이 수년간 초과근무 수당을 부당하게 수령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파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복수의 제보와 내부 자료에 따르면 일부 직원들은 실제 근무 없이 오전 8시 이전에 출근한 것처럼 등록해 초과근무 수당을 챙기고, 저녁에도 실질적인 업무 없이 식사 후 늦게 들어와 근무시간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수당을 수령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전 8시 이전 등록(2시간) + 저녁 6시부터 7시30분(1시간30분)을 합산해 총 3시간 30분(210분)의 초과근무가 인정되는 시스템을 악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루 최대 인정 시간이 4시간(240분)임을 감안할 때, 실제 업무 없이도 거의 전액에 해당하는 수당을 반복적으로 수령한 셈이다.

최근 3년간 이러한 방식으로 약 2,000만 원 상당의 초과근무 수당을 챙긴 직원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초과근무 등록은 과장의 결재를 거치기 때문에 상급자의 묵인 또는 방조 의혹도 불거지고 있다.

한 직원의 근무 사유에는 ‘의회 환경정비 및 업무보조’라는 추상적 표현이 반복 기재돼 있어, 실질적 업무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군민 A씨는 “의원은 정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났는데, 직원들은 조용히 수당만 챙기고 있다”며 “도대체 이게 군민을 위한 공공기관인가”라고 비판했다.


군민 B씨도 “의회가 청렴도 꼴찌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여실히 드러났다”며 “책임지는 사람은 의원뿐이고, 내부는 여전히 무풍지대”라고 꼬집었다.

한편 영광군의회는 해당 초과근무 수당 부당 수령 의혹에 대해 자체 감사팀에 접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군민들은 강 의원의 결단에 이어 의회사무과 내부 비위에 대한 명확한 진상 규명과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