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안철우 기자 | 광주 광산구가 시민참여형 사회적대화 전담 기구인 ‘지속가능일자리회’의 분과회의를 확대,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 수립을 위한 시민 주도 사회적대화에 속도를 낸다.
‘지속가능일자리회’는 지난 5월 출범 이후 시민이 참여한 분과회의를 구성, 지난 3월 발간된 ‘지속가능 일자리 녹서’를 토대로 광산구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 해법을 논의하는 사회적대화를 진행 중이다.
당초 분과회의는 제조업, 민간 서비스, 공공서비스, 마을 일자리 등 4개로 이뤄졌다.
분과회의마다 공개 모집한 1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하고 있다.
광산구는 다양한 성격, 영역의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민 목소리를 반영해 돌봄 일자리, 녹색 전환 일자리 2개 분과를 추가 구성하기로 했다.
지난 13일 6개 분과회의로 확대 개편을 마친 ‘지속가능일자리회’는 ‘지속가능 일자리 녹서’에 담긴 시민의 1,436개 질문, 20개 핵심 질문에 대해 시민이 직접 답을 찾고, 정책을 설계하는 사회적대화에 박차를 가한다.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의 방향과 주요 과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지난 사회적대화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영역별 일자리 모형을 발굴하고, 실행할 정책 방안을 찾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광산구는 전문적으로 정책을 설계하기 위한 전문가 중심의 사회적대화, 폭넓게 전 국민의 목소리를 담는 온라인 사회적대화, 21개 동을 순회하는 찾아가는 일자리 대화마당 등도 진행하고 있다.
광산구는 이러한 사회적대화의 결과, 내용을 모아 9월에는 ‘지속가능 일자리 녹서’에 대한 ‘답변서’ 격인 ‘백서’를 제작한다.
‘백서’에는 지속가능 일자리 구체적 실행을 위한 정책안, 광산구에서 추진할 영역별 일자리 모형 등이 담긴다.
‘백서’가 만들어지면, 10월에는 실행계획서인 ‘청서'를 마련해, 내년 1월부터는 지속가능 일자리 시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광산구의 시민참여형 사회적대화는 시민이 직접 참여해 좋은 일자리에 대한 해답을 찾고, 혁신적인 일자리 비전을 구체화하는 민주적 정책 설계의 표준이 될 것”이라며 “광산의 일자리가 바뀌면, 대한민국 일자리가 달라진다는 믿음으로, 지속가능 일자리 실현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선 8기 광산구의 핵심 과제인 지속가능일자리특구 조성은 세계 최초 풀뿌리 시민참여형 사회적대화로, 질 좋은 일자리 모형을 만들고 지역 전체에 확산하는 정책이다.
시민참여형 사회적대화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지속가능 일자리’ 녹서는 지난 4월 국회 정책토론회에 소개돼 새로운 지역 일자리 정책 본보기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