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VIETNAM ELECS 2025‘ 참가로 에너지ICT 기술 선봬

수소도시 플랫폼,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등 미래 에너지체계 선도 기술 4종 출품

 

전남투데이 김윤걸 기자 | 에너지ICT 전문 공기업 한전KDN(사장 박상형)은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SECC에서 개최되는 ‘VIETNAM ELECS 2025’에 참가했다.

 

베트남 정부 주도 아래 에너지 전환과 산업 자동화를 핵심 주제로 개최되는 VIETNAM ELECS 2025는 전력,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국제 전시회로 아세안 시장 내 전력 설비 및 관련 인프라 수요 급증 속 베트남 현지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기술 교류 및 파트너십 구축의 장으로 평가받는 전시회다.

 

올해 VIETNAM ELECS 2025에는 한전KDN을 비롯한 200여개 이상의 국내외 기업이 참가하여 ▲전력 인프라 기술 및 기자재 전시 ▲재생에너지 및 스마트 그리드 기술 시연 ▲산업용 IoT, 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소개 ▲에너지 기업 간 비즈니스 매칭 ▲전문 컨퍼런스를 통한 정책·기술 트렌드 공유 등으로 구성되었다.

 

한전KDN은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 ▲전력구 감시시스템 ▲수소도시 플랫폼(K-H2ECP, EMS Cloud Platform) 등 총 4종의 솔루션을 출품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장비로 배전 선로의 데이터 취득과 개폐기 감시/제어를 담당하며 보안기술 강화와 TCP/IP 통신 기능 추가로 파일 전송 속도 향상으로 고장발생 시 자동으로 고장 구간을 분리하고 우회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자동화 시스템 현장 설치와 운영으로 그 성능을 실증하고 안정적 전력공급과 최고의 전력품질 선도에 기여하고 있으며 추후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는 늘어나는 재생에너지 설비와 전력 계통 간 안정적 연계와 분산형전원으로 인한 선로의 전력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쉬운 설치와 보장된 경제성으로 전력 흐름의 불안정을 개선하여 전력품질 관리 소홀과 예기치 않은 출력 급변으로 인한 블랙아웃 등의 사고 예방을 도와준다.

 

‘전력구 감시시스템’은 대규모 전력 설비가 밀집된 도심 지하 전력구 내의 화재, 침수, 환기 등 주요 환경 요소 실시간 감시와 외부 침입 등 이상 상황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설비로 전국의 배전전력구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알람 및 이벤트를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AI 영상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 촬영·저장하여 현장 대응력을 한층 강화하였으며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지하 구간에서도 이상 징후를 신속히 파악하여 전력 인프라의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수소도시 플랫폼(K-H2ECP)’은 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 소비에 이르는 전체 흐름을 통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국내 수소도시 실증사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수소 인프라가 설비 중심이라면 K-H2ECP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통합 운영 체계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해당 시스템은 디지털 트윈, 증강현실(AR), 시각화 포털, 빅데이터·AI 등의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안전사고 예방, 에너지 운영 효율화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 지원하고 있으며 전주·완주와 안산 수소 시범도시 구축에 이어 보령, 당진, 부안 등 수소 도시와 업무협약 체결로 본격 확산에 나서고 있다.

 

한전KDN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 등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생존을 위한 필수가 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ICT기술이 있다”고 강조하며 “글로벌 기업과의 긴밀한 교류 및 베트남 등 아세안 지역의 트렌드 파악과 에너지ICT 기술을 선보임으로써 글로벌 에너지ICT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