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유동국 기자 | 29일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대국민 담화를 통해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실패한 데 대해 "이것을 잘 지휘하고 유치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은 대통령인 저의 부덕의 소치"라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이 모든 것은 전부 저의 부족이라고 생각해 달라. 정말 우리 민관은 합동으로 열심히 뛰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먼저 그동안 엑스포 유치를 위해서 불철주야 수고해주신 박형준 부산시장 그리고 민관 합동유치위원회 공동 위원장이신 최태원 상의 회장, 한덕수 총리 그리고 바쁜 일정에도 그야말로 기업의 업무를 제껴 놓고 최선을 다해서 뛰어주신 이재용 삼성회장, 정의선 현대차회장, 구광모LG회장을 비롯한 많은 기업인들”이라고 일일이 이름을 호명했다.
또 최재철 주프랑스 대사와 박상미 유네스코 대사, 최상대OECD대사에게 감사의 뜻을 보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 2021년 7월에 부산을 가서 2014년부터 부산시민들이 2030년 엑스포를 유치하기 위해서 정말 애써온 시민들의 열망을 목격하고 또 정부에서 지원을 해줬으면 하는 아쉬움과 좀 무관심에 대한 실망감도 느꼈다”며 “그래서 제가 대선과정에서 대통령이 되면 범정부적으로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서 범정부적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을 드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선인 시절에는 고맙게도 우리 기업들이 함께하겠다고 또 민관이 공동으로 일을 하겠다고 이렇게 참여를 해주셔서 정말 지난 1년 반 동안 정말 아쉬움 없이 저희는 뛰었다고 생각한다”며 “저 역시도 96개국 정상과 150여 차례 만났고 수십개 정상들과는 직접 전화통화도 해왔고 했습니다만 저희들의 저희 민관에서 접촉하면서 저희들이 어떤 느꼈던 그 입장에 대한 예측이 많이 빗나간것 같다”고 반성했다.
윤 대통령은 "그렇지만 부산엑스포 유치는 단순히 부산만의 발전 위한 게 아니라 서울과 부산 두 개 축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균형 발전 통해 비약적인 성장하기 위한 시도였다"며 "우리는 세계 10대 경제강국에서 더 점프하려면 우리 국토의 모든 지역을 충분히 산업화해서 사용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부산엑스포 유치는 단순히 부산만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울과 부산을 두 개 축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균형발전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시도였다”며 “우리는 세계 10대 경제강국에서 더 점프하려면 우리 국토의 모든 지역을 충분히 산업화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외국에서 보면 알려진 주요 도시로서 그 나라를 인식한다고 했다. 외국에서 보면 대한민국 하면 서울밖에 모른다”고 설명하며 “일본 하면 우리는 도쿄도 알고 오사카도 알고 삿포로도 알지만 전 세계적으로 일본하면 도쿄와 오사카 2개로 인식하고 있다”며 일본의 사례를 예로 들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엑스포유치는 실패했지만 이러한 국토의 균형발전 전략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라며 “우리의 글로벌 중추외교라는 기조 하에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 있는 기여는 대한민국의 국격을 위해서도 반드시 철저하게 추진하고 이행해나갈 것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엑스포 개최에 성공한 사우디아라비아에 축하를 전하며 "엑스포 유치 위해 준비한 자료와 경험과 자산을 사우디에 충분히 지원해서 사우디가 2030년에 성공적인 엑스포 개최하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엑스포 유치를 총지휘하고 책임을 진 대통령으로서 우리 부산시민을 비롯한 국민 여러분께 실망시켜드린 것에 대해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재차 사과했다.
앞서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는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외곽 '팔레 데 콩그레'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1차 투표에 참여한 총 165개국 중 119개국 표를 얻어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우리나라(부산)는 29표, 이탈리아(로마)는 17표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