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한동주 기자 | 지난 2019년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에서 발굴된 유골 가운데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된 사람의 유골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에 따르면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된 262기의 유골 중 1기가 행불자로 인정된 A씨의 가족 DNA와 99.9%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위가 유전자 비교 분석이 가능한 160기의 유골 정보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서 이관받아 재조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다른 2기의 유골도 행불자 유골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교차 분석 과정을 거치고 있다.
암매장 의혹 유골과 행불자 DNA 정보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연고 묘지에서 발굴된 유골을 분류·조사 중이던 국과수는 선행 유전자 분석 과정에서 5·18 행불자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하지만 조사위는 국과수와 다른 유전자 조사 기법(SNP)으로 재조사에 착수해 지금까지 60여구를 조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1구가 행불자 A씨와 DNA 정보가 99.9998% 확률로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과수는 또 다른 2구도 행불자 유골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교차 분석 과정을 거치고 있다.
조사위는 A씨의 사망 원인은 물론 행방불명된 경위와 암매장까지 이르게 되는 과정 등을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에서는 2019년 12월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 더미가 무더기로 발굴됐다. 당시 80여구로 추정된 유골은 국과수가 분류 작업을 거쳐 262구의 유골로 최종 확인됐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됐던 공수부대원들이 사망 민간인을 암매장한 장소로 지목했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