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포함 무등산 군부대 이전부지 물색

김광진 부시장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광주군공항도 대안”

 

 

전남투데이 한동주 기자 |  국방부·광주시 등이 무등산 정상에 있는 방공포대 이전 계획을 내년 안에 마련하기로 하면서 대상지로 광주 군 공항을 우선해서 검토되고 있다.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4일 기자들과 차담회에서 “시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을 전제로 군 공항 등을 방공포대 이전 대상지로 검토하고 있다”며 “새로운 적지가 나온다면 같이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5년과 2017년 국방부, 광주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3자 협약 당시에도 군 공항은 방공포대 이전 후보지로 거론됐으나 방공포대, 탄약고 등 관련 시설을 군 공항에 집약하면 군 공항 이전이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인식에 반대 여론이 있었다.


송갑석 의원도 “무등산은 18개 육상 국립공원 중 정상에 군부대가 주둔하는 유일한 국립공원이고, 정상부 주상절리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세계적 명산이지만 56년간 정상부에 방공포대가 위치하면서 생태계가 불가피하게 훼손돼 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무기체계의 발전, 안보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공포대가 산 정상을 고수해야 할 필요성이 적고 특히 내년 12월 포대 부지에 대한 광주시의 사용허가가 만료되는 만큼 그전까지 이전후보지 제시 등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로드맵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송 의원은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29일 광주시, 국방부 및 군 당국, 국립공원관리공단과 무등산 방공포대 현장 합동회의를 개최했다.


김광진 문화경제부시장의 설명과 기관 간 합의를 종합하면 국방부에서 내년 발주할 것으로 보이는 용역에서 이전 후보지와 절차 등 로드맵이 나오면 방공포대 이전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 부시장은 “무등산 정상을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데는 국방부, 시민 등 누구도 반대하지 않고 국방부에서도 2017년 협약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쟁점은 어디로 갈지, 누구 돈으로 할지였는데 지금은 법이 개정돼 이전 비용을 국방부 특별회계로 충당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시장은 또 “주민 수용성이 이뤄진다면 국방부도 동의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방공포대를 먼저 옮긴 뒤에 광주군공항 이전은 절차대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군은 1961년부터 광주시 소유 무등산 정상부를 무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66년부터는 방공포대가 주둔하고 있다. 


광주시는 무등산 정상을 시민 품으로 돌려주기 위해 1995년 국방부에 방공포대 이전을 건의했으며 2015년에는 이전 협약도 체결했지만, 아직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