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투데이 한동주 기자 | 제23회 전국학생만화공모전 카툰 부분에서 금상을 받은 ‘윤석열차’라는 작품이 연일 논란의 중심에 올랐다.
수상 이후 문체부는 행사 취지에 어긋나게 정치적인 주제를 다룬 작품을 선정·전시했다는 이유로 한국만화영상진흥원(만진원)에 ‘엄중경고’를 내렸다. 이에 만화계는 일제히 강하게 반발했다.
웹툰협회 측은 입장문을 발표했다.
웹툰협회는 “카툰의 사전적 의미는 주로 정치적인 내용을 풍자적으로 표현하는 한 컷짜리 만화이다.(네이버 어학사전 발췌) 그리고 해당 수상작은 카툰 부분 수상작이다. 이보다 더 행사 취지에 맞춤 맞을 수 있는가”라고 밝혔다.
이어 “문체부는 ‘사회적 물의’라는 지극히 주관적인 잣대를 핑계 삼아 노골적으로 정부 예산 102억원을 운운하며 헌법의 기본권 중 하나인 ‘표현의 자유’를 부정하고 있다”며 “주무부처가 백주대낮에 보도자료를 통해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은 분야엔 길들이기와 통제의 차원에서 국민 세금을 제 쌈짓돈 쓰듯 자의적으로 쓰겠다는 협박이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에 가당키나 한 일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했다.
또 “문체부는 행정부 수반인 윤석열 대통령님의 평소 소신과 철학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반기를 드는 것인가. 보도자료를 시급히 거두고 해당 학생 및 만화창작자들, 더 나아가 대한민국 문화예술인들에게 석고대죄해야 할 것이다”라고 단호히 입장을 밝혔다.

이로 인해 윤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절 발언 역시 재조명됐다. 지난해 12월 8일, 서울 대학로에서 진행된 청년문화예술인 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은 “우리 정치와 사회와 이런 소위 힘 있는 사람, 기득권자에 대한 이런 풍자들이 많이 들어가야만 인기가 있고 국민들에게 박수를 받는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6일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취재진에게 윤 대통령은 “그런 문제는 대통령이 언급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전 발언과는 상반된 태도로 일관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홍익표 위원장 등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윤석열차’에 대한 문체부의 엄중 경고 및 조사 행위가 예술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진정서를 이날 오전 9시께 접수했다.
이들은 문체부의 경고 조치가 고등학생 수상자에게 정신적으로 고통과 함께 향후 작품활동에 영향을 미쳐 수상자의 창작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취지로 진정서를 접수했다.
작품을 작품으로 보지 않는 어른들의 잣대에 그림을 그린 고등학생은 이미 피해를 입는 중이다. 커뮤니티 등에 작품과 함께 학교와 이름이 노출된 것이다. 작품이 정쟁의 단초가 되면서 해당 학생의 학교가 있는 지역을 비하하거나 혐오 표현이 올라오기도 한 것으로 알려진다.
도를 넘은 신상공격도 일어나는 가운데 커뮤니티에서는 “아이는 건드리지 말자”, “카툰에 정치 의도를 없애라면 제대로 된 작품이 나올 수 없다”는 등 학생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관계자는 전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다른 풍자 작품도 많은데 정치 풍자라 주목받는 것 같다”며 “문체부로부터 지침을 받으면 검토 후 따를 예정이다. 이 같은 논란은 예상하지 못했다. 웹툰협회처럼 정부 대응을 비판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